[ 건축공사,인테리어공사시 첫 공정인 가설공사의 항목과 산출방법 ]
..가장 쉬우면서도 가장 빠뜨리기 쉬운 가설공사..하지만 주 공정(철콘,조적,타일,목공사 등)과 같은 중요한 공정이죠.
- 개요
--> 가설공사는 공사완료후 공사목적물의 구성요소는 아니나, 공사중 소요되는 공정으로
자재는 대체로 손료로 적용하며 그 성질에 따라 계상합니다
- 항목별 산출기준
1. 수평보기 (단위:m2)
- 지하,지상층중 가장 넓은 1개층의 바닥면적으로 산출합니다
( 설계도서 면적표를 보시면 다 나와있죠^^)
2. 수평 평규준틀(단위:개소)
- 수평보기를 산출한 경우 산출하지 않음 ( 대개는 산출하지 않습니다)
3. 수평 귀규준틀(단위:개소)
- 수평보기를 산출한 경우 산출하지 않음 (대개 산출 않함)
4. 세로 규준틀(단위:개소)
- 조적(벽돌,블럭조)조 건물에 내력벽이 교차하는 곳의 개소...조적조 공사에만 산출함
5. 먹메김(단위:m2)
- 건축물 연면적에서 수평보기 면적을 제외한 면적(설계도서 면적표만 있으면 OK ^^ )
6. 외부 비계 (단위:m2)
비계산출경우 아래 식에 대입만 하시면 됩니다..
* 공식= ( L(건물둘레)+8a ) * h (층고)
* 쌍줄비계경우= a에 0.9 대입 / 외줄비계경우 = a에 0.45대입
(a = 건물외벽과 떨어져있는 간격이며, 대개는 쌍줄비계를 사용하죠 )
7. 비계다리(단위:m2또는 개소)= 비계다리는 외부 비계에 설치하는 가설 경사로를 말합니다.
1) 개소로 산출시 - 건물연면적 1,600m2 마다 1개소 설치를 설치하므로
연면적에 1600으로 나누어 산출
2) m2로 산출시 - 공식=A= ( H/0.3 + 1.2N ) * 0.9 ..... ( H:전체건물높이, N:층수 )
8. 콘크리트 타워
- 높이 산출 = 건물최고높이 + 12M ( 지하매설부위 2M포함 )
9. 동바리 (단위:공M3)
- 층고3.6M이내 과 3.6M이상구분 산출합니다
- 상부면적에 0.9를 곱하시면 됩니다.
( 예를 들어 1층 동바리면적을 산출한다면 2층바닥면적에 0.9를 곱합니다)
10. 내부 수평비계(단위:m2)
- 건물의 층고가 3M이상일 경우 산출합니다
- 층고가 3M이상인 바닥연면적에 0.9를 곱하여 산출
11. 내부 말비계(단위:m2)
- 건물 층고가 3m이내일 경우 산출
- 층고가 3m이내인 바닥연면적에 0.9를 곱하여 산출
12. 낙하물 방지망(단위:m2)
* 공식= 건물 외부둘레 * 폭(3.6m)
- 최하단은 3층바닥에 설치하고 5개층마다 1개소씩 추가 산출
13. 보호막(단위:m2)
- 외부비계면적과 같습니다..
14. 콘크리트보양(단위:m2)
- 콘크리트타설후 온도변화 및 수분증발로 인한 균열방지가 목적이며 바닥면적 입니다.
15. 타일 및 인조석면 보양(단위:m2)
- 타일 및 인조석면의 오염 및 파손방지를 위하여 설치합니다
- 타일및 인조석면 바닥면적입니다
16. 기타보양
1) 문틀보양 - 문틀개소 이며...외주발주시는 외주에 포함시킵니다
2) 바닥마감 보양 - 목재마루, 장판등 마감재 보양으로 설치 면적m2입니다.
외주시 외주에 포함
3) 석재면 보양- 바닥석재시공시 산출하며 석재바닥면적입니다.. 외주시 외주에 포함..
*** 가설공사경우 항목은 많으나 실지로는 건축도면의 면적표만 있으면 거의 산출이 가능한
쉬운 공정입니다.
하지만 누락시 공사비는 상당히 소요되는 공정이므로 꼭 챙겨야 할 공정입니다.......
출처 - 씨스템 동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