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타다보니 흔한 당귀를 몰라 다른 것(개당귀) 잎을 뜯어 당귀가 아니냐고

물어본 기억이 납니다.

 

며칠 전 당귀 잎사귀 하나를 뜯어 집에 들고와 당귀 맞냐고 물으니

맞다고 합니다.

 

산을 타다보면 접하는 수 많은 약초들..

 

삽주를 보고 도라지로 혼동하던 시절이 엊그제 같습니다.

당귀에 대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는 글이 있어 옮겨 봅니다.

 

휴일이 지나가고 있네요.

편히 쉬시고 행복한 한 주 여세요~

 

 

-산아이-

 

 

 

  ‘굳은 의지‘라는 꽃말을 지닌 참당귀

 

 

 

 

 

자색의 꽃빛이 상서로운 당귀속의 기원식물…참당귀(當歸)

 

 

 

학명: Angelica gigas Nakai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미나리목 미나리과 당귀속의 여러해살이풀

 

 

 

 

 

『참당귀』는 자연에서는 고랭지 물기가 많은 산비탈에서 잘 자란다. 키는 1~2m로, 재배하는 일당귀(일본이 원산지로 왜당귀라고도 함)에 비해 훤칠하며 일당귀나 중국당귀의 꽃들이 모두 하얀데 참당귀만은 짙은 자색으로 그 토종스런 자원식물의 위상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같은 당귀속에는 궁궁이, 참나물, 구릿대, 전호, 바디나물 등이 있는바 이들의 원조 격인 기원식물이 바로 참당귀다.

 

 

 

참고로 ‘개당귀’로 알려진 ‘지리강활’은 독성이 매우 강하여 초보자는 조심해야 한다. 잎으로만 비교해보면 참당귀와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꺾어서 냄새를 맡아보면 역하거나, 포기의 밑 부분과 잎가지 마디마디가 붉은빛이 선명한 것이 지리강활이다.

 

 

 

「당귀」를 고려 때에는 단귀풀(旦貴草)이라 하였는데 향명은 승암초(僧庵草: 심산유곡 스님의 암자에서 자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이조 때는 승엄초불휘, 승검초 등의 이름으로 불리어왔다. 당귀의 싹이 은비녀 다리 같다 하여 ‘은채고’라고도 하였는데 뿌리에서는 매혹적인 향기가 난다.

 

 

 

「당귀」는 인체의 기혈의 순환이 순조롭지 못하여 여러 가지 병증이 나타날 때 이를 ‘마땅히(當) 제자리로 돌아가게(歸) 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의 옛 풍습에 부인들은 남편이 싸움터에 나갈 때 당귀를 품속에 지니게 하였는데 남편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뜻이 담겨있다.

 

 

 

이는 당귀가 상처 난 병사들에게 매우 긴요한 치혈약이었음을 의미하며. 또 옛날에 한 신부가 냉병(冷病)으로 소박맞아 친정으로 쫓겨난 뒤 이 풀을 먹고 시가로 돌아가게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자궁이 차면 수태하기 어렵고 자식을 낳지 못하면 소박받기 일쑤였던 옛 시절의 여자들은 얼마나 서러웠을까. 당귀는 필경 그런 여자들을 위해 태어났으리라.

 

 

 

「당귀」의 성미는 온화하고 달고 쓰며 따뜻하다. 심 비 간 신에 작용하여 자궁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자궁의 환경을 깨끗이 유지하여 월경통을 멎게(調經止痛)하고 변비를 없애는(潤腸通便) 효능이 있다.

 

 

 

혈이 허하면 안색이 창백해지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이명이 생기기도 한다. 그럴 때 황기를 가해 ‘당귀보혈탕’을 쓰면 이 같은 증상이 사라진다. 숙지황, 백작약, 천궁을 더한 ‘사물탕(四物湯)’은 부인과 질환의 성약이라 할만하다.

 

 

 

『참당귀』를 또 ’토당귀‘라고도 하는데 데쿠신(decursin: 전립선암의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짐)이 주성분으로 보혈(補血) 보다는 파혈(破血)하는 효능이 강하다고 하였다.

 

 

 

『참당귀』의 꽃말은 ‘굳은 의지’이다. 이 초형이 야생에서 만나면 어찌나 크고 굳센지 누구라도 반할만하다. 산형과 식물 중 바디나물(꽃은 자색으로 참당귀와 같으나 크기가 훨씬 왜소하다.)을 제외하면 한결 같이 여성스런 흰 꽃들인데 비해 이 참당귀는 짙은 자색을 펼쳐들고 고산을 호령하는 듯 한여름의 멋진 남성미를 보여준다.

 

 

 

식물의 접두사에서 ‘참’이란 ‘크다’ ‘먹을 수 있다’거나 ‘진짜’ 또는 ‘원조’ 격의 의미로 부여한다. 필자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접두사도 ‘참’이다.

 

 

 

참 곧고 크며 향기롭고 먹음직스러운 참당귀를 언젠간 꼭 내 뜰에 심어 그 앞에서 턱을 괴어보리라던 때가 생각난다. 시골로 이주한 지금이 바로 그 때가 아닐까 싶다. 벌써부터 봄이 설레고 여름이 애가 탄다. / 김진수 전남들꽃연구회장<전남타임스 기고글>

 

 

 

 

 

 참당귀의 잎

 

'산야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나비 버섯  (0) 2014.06.30
춘천 근교 산행  (0) 2014.06.27
고본  (0) 2014.06.23
봉삼의 효능  (0) 2014.06.03
백선(봉삼)-봉황산삼  (0) 2014.06.03

계곡에 와 있습니다.
계곡물이 너무 맑아 시원함을
더해 주네요.

산을 오르내리면서
들려오는 시원한 물소리
피로가 몰려왔다가
사라집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 산아이-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은 그곳에 있다.  (0) 2018.03.25
구봉산 일몰  (0) 2018.01.14
눈 내리는 풍경  (0) 2018.01.07
휜눈 내리는 날  (0) 2017.12.24
문경새제  (0) 2014.06.20

춘천 오봉산 가는길에 배후령에서
봉삼 한뿌리 캤습니다.

그리고 봉삼주가 되었습니다.
언젠가는 누군가 마셔대겠죠.

날씨가 매우 덥네요.
산행하시는 분들 지치지 않게
정제염도 챙기시길

가을엔 봉삼주 제대로
담궈 봐야 겠습니다.

즐거운 밤 되세요.

-산아이-


 

'산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의 유혹  (0) 2014.06.27
자를까?  (0) 2014.06.24
산삼주  (0) 2014.06.05
심산행  (0) 2014.06.04
화천 산행  (0) 2014.05.22

오늘 일을 다녀오니

어제 채취한 삼이 술병에 들어 앉았네요.

 

 

 

아내가 약초술 담그는 것을 좋아 하다보니 더덕주,송이주,개복숭아주등 몇가지를 담았는데

오늘에서야 산삼주를 담그게 되었네요.

 

봉삼주는 다른 님께서 채취해가지 않는다면 가을을 예약하고

하수오주도 담고 싶다하니 조만간 하수오 산행도 해야 할 듯 합니다.

 

 

 

내일 다시 홍천으로 갑니다.

산행도 하고, 꺽지 낚시도 해야겠죠~

 

산행을 하기전엔 꺽지를 낚느라 하루를 보내곤 했는데

산행을 하다보니 꺽지가 잡아 달라고

꺽~꺽~대는 것 같습니다.

 

연휴네요.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산아이-

 

 

 

'산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를까?  (0) 2014.06.24
봉삼주(백선,봉황삼)  (0) 2014.06.10
심산행  (0) 2014.06.04
화천 산행  (0) 2014.05.22
홍천 산행  (0) 2014.05.08

 홍천 산행중 만난 님~초롱꽃(종꽃)

 

 

초롱꽃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물 분류 읽는 법초롱꽃
Campanula punctata 01.JPG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
과: 초롱꽃과
속: 초롱꽃속
종: 초롱꽃
학명
Campanula punctata
Lam. 1785

초롱꽃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원산으로 일본과 동부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생태[편집]

햇볕이 잘 드는 들이나 낮은 산에서 자라며, 꽃이 아름다워 심어 기르기도 한다. 키는 30~100 센티미터 남짓이며, 줄기는 곧게 서며 옆으로 기는 줄기가 함께 난다. 전체에 거친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며 심장꼴 달걀 모양이며, 줄기에서 나는 잎은 잎자루가 아주 짧거나 없고 삼각꼴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바소꼴이다. 어긋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종 모양으로 핀다. 꽃이 꼭 초롱 모양 고개를 숙이고 있어 이름이 초롱꽃이다. 흰색 꽃도 있고, 연한 자주색 꽃도 있는데, 꽃의 길이는 4~8 센티미터 정도이고 꽃받침은 5개이며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8~9월에 익는다.

쓰임새[편집]

이른 봄에 나는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진해·거담에 잘 들어 약으로도 쓴다.

비슷한 풀[편집]

초롱꽃과 비슷한 풀로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과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이 있다. 금강초롱꽃은 한국 특산종으로 보랏빛 꽃을 피우고, 꽃밥이 서로 붙어 있으며, 높은 산의 숲 그늘에서 자라는 점이 초롱꽃과 다르다. 섬초롱꽃은 줄기와 잎에서 윤기가 나고, 꽃 안에 털이 거의 나지 않는다.

사진[편집]

참고 자료[편집]

  • 고경식·김윤식, 《원색한국식물도감》(아카데미서적, 1988)
  • 풀베개

바깥 고리[편집]

'들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1  (0) 2017.07.23
시골  (0) 2017.07.23
내촌  (0) 2017.07.06
금낭화  (0) 2014.06.15
참꽃마리  (0) 2014.06.15

홍천 갔다가 집에 돌아 왔습니다.

내려온 시간이 3시남짓

 

내촌에서 늦은 점심으로 낙지볶음먹고

두촌쪽으로 돌면서 산 모양새 보고

홍천방향으로 오다가 동홍천I.C 지나 구성포에서

노루재 넘고 느랏재 넘어 춘천에 왔습니다.

 

처음부터 사진을 올려 봅니다.

 

 

 

 

 

 

처음으로 채심한 4구입니다.

바로 옆으로 4구 두채가 더 있었습니다.

두장은 비슷한 모습인것 같아 사진을 건너 뛰었습니다.

 

그리고 산을 내려와 20여분 이동 다른 골짜기로 들어섰습니다.

골짜기 세곳을 넘어 8부 능선 그늘진 곳에서 4구를 보았습니다.

 

 

 

채심을 했는데 뿌리가 제대로 내려가질 못하고 나무 뿌리를 올라타고 앉았네요.

 

 

 

 

 

 

아래로 각구가 보입니다.

 

 

 

그리고 아래로 오행

 

 

 

4구 4채를 채심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그릇가게에 들려 술병 두개사고

마트에 들려 담금주 사고 술 담글 준비를 마쳤습니다.

 

 

 

 

 

 

 

무엇이 불만인지 또아리를 틀었습니다.

독사가 또아리를 틀고 독을 품듯 약성을 안으로 갈무리 했으면 좋으련만~ㅎ

 

생중계 하던중 기후가 나빠져 하산을 할수밖에 없었습니다.

아내가 산삼주를 담그고 싶다고 하니 그렇게 하자하고 준비 완료 입니다.

 

 

 

2~3일 산행을 하려 했는데 내일 일이 생겨 오늘 산행은 이렇게 마쳤습니다.

 

 

 

-산아이-

'산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를까?  (0) 2014.06.24
봉삼주(백선,봉황삼)  (0) 2014.06.10
산삼주  (0) 2014.06.05
화천 산행  (0) 2014.05.22
홍천 산행  (0) 2014.05.08

 

천종봉삼 이야기

봉삼의 약효
머리 끝에서 발끝까지 해당 안된 곳없이 다 좋다 했는데...
당뇨, 중풍, 혈압조절, 냉증, 간암, 폐암, 위암, 기관지염, 천식, 비염, 장염, 관절염, 축농증, 무좀, 아토피성 피부병, 악창, 종창, 전립선, 야간다뇨, 견비통, 사십견 오십완, 수족땀 많이나는데, 비대소장에 입경(入經)하고, 만성두통, 해수, 열풍독, 모든 지각성마비, 근육통, 살균, 소염, 수족냉증, 이뇨, 남여의 천연 비아그라, 피를 맑게하고, 정신을 맑게하며, 원기회복력이 빠르고, 저항력을 높여주며. 억균작용을 한다는 것은, 임상 실험에서 이미 밝혀졌으며, 대머리 탈모증도 완치됨을 보았습니다.

봉황산삼은 옛날 다수의 의원들이 포기했던 병을 낳게한바 있고, 현대 의학에서도 포기했던, 감암이나 폐암등을 낳게하였음이 여러 곳에서 밝혀지고 있다.

 


 

 

 

 

봉삼(백선)사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동의학 사전에서 고증하는 봉삼(봉황산삼 : 鳳凰山蔘)
  사지불안, 중풍에 중요한 약이기도 하다.  퇴충, 간헐열, 머리아픔, 류머티즘,
  척수 신경근염, 뇌막염, 월경장애, 황달, 열내림약, 아픔멎이약, 거풍약, 진경약,
  진정약, 오줌내기약으로 쓰며, 습진, 사상균성 피부질환, 태선, 악창, 고름집, 포경,
  옴, 두드러기, 대머리 탈모증에도 달여서 바르면 특효하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없애고, 몸의 모든 독성을 없앤다.
 
☆위의 기록(본초강목 1.2.3.4)과 같이 봉삼은 60년전 개성 삼상인들이 만주로부터
  가져왔다는 기록과 실물사진과 같은 그림을 재료로 보더라도, 산삼(천종인삼)보다
  더 희귀했음을 알 수 있고, 산삼을 보신재로 대게 쓰이지만 봉삼은 보신과 아울러
  치료제로 사용한다고 한다. 국내 한방약에서 조차도 봉삼은 아는 사람이 거의 없고,
  사용해 본 적이 거의 없다고 하는데, 위 고증의 참고문헌은 우리나라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각 대학교의 한의과 대학 본초학 교실에도 소장되어있다.
 
  봉삼의 머리와 뿌리모양이 전설 속의 새인 봉황을 닮았다고 하여 봉삼(鳳蔘)이라
  불려진 이 봉황산삼의 특징은, 보통 산삼(천종인삼)과는 그 종자부터 다르고, 삼의
  뿌리에 철선과 같은 목근의 심이 박혀 있다는 것이다. 평생을 한 뿌리 산삼을 얻고
  자 산을 오르내리는 심마니들이,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대로 "심봤다"라고 외치는
  것은 바로 이 봉삼(천종백선)을 두고 한 말이라고 합니다.

그 희소성과 신비의 약효 및 효능 때문에 부르는게 값인 봉삼은, 게르마늄 성분이 많은

한반도의 토질에서 잘 자란다고 합니다.

이미 실험을 통해 잘 알려진 바대로, 게르마늄(GE)은 체내, 세포 활성화와 각종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기적의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피를 맑게 하고, 정신을 맑게하며, 암을 정복하는 물질로 밝혀졌습니다.

자연과 산 속의 식물에는 삼(蔘)의 종류가 많습니다. 산삼만이 삼이 아니라. 산속의 식물에게 삼이란 이름이 붙여진 약초는,

그만큼 약효에서 산삼만큼 뛰어어나기 때문에. 그들도 삼이라고 예로부터 칭하여 왔다.

봉삼, 산삼, 사삼, 연삼, 고삼, 만삼, 환삼, 선삼, 천삼, 현삼, 진삼. 왕삼, 등등 30 여가지가 넘는데,

그 중에 가장 으뜸이 봉황산삼이라 하였다.
그렇다면 그러한 약초란 곧 천종백선 즉 봉황산삼 하나 밖에 없는 것이다. 혹간에는 산삼만을 신봉하는 일부 약초꾼들이.

봉삼이란. 봉황처럼 생긴 인삼이나 산삼을 말한다며, 봉삼의 신비성을 자기 쪽에 붙이고 있다.

그러나 산삼이나 인삼은, 사람을 닮은 모습이며, 키가 짧아서 봉황의 모습이 나올 수가 없는 단 뿌리종이다.

또한 산삼종에서는, 천년이 지나도, 본질적으로 뿌리에 심이 생길 수 없는 식물이며,

돌연변이로도 심이 생길 수 없는 것이,

과학적인 상식인 것이다.

따라서 옛날의 고서에서나, 전설적으로 전해져 오는 봉황산삼이란, 약효에서나 모습에서나,

그 종의 크기에서 보더라도, 그 삼에는 뿌리에 목근과 같은 심이 들어 있으며, 꼬리의 모습이 봉황을 닮았으며, 장대(아주 크다는 뜻)하다 하였으니, 오직 봉황산삼 이란 것은, 천종백선 뿐이다. 라는 것은, 두번말할 필요가 없다 하겠다.

 

 

 

 

 

 

 

 

봉삼 복용 체험기


봉삼을 작년에 처음 알고나서 많은 검색과 채취를 해서

직접 체험삼아 주위분들과 직접 먹어보았습니다.

먼저 저의 어머님이 무릅관절이 안좋으셨는데 두어달 드시더니

무릅이 안 아프시다고 하면서 봉삼을 먹어서 그런가보다 하시더군요.

이제는 거의 다 나았습니다.

저도 산행을 하다보면 숨이 무척 가빴는데 봉삼을 차처럼 계속 먹다보니 놀랍게 회복속도가 빠르더군요.

힘들일을 하다보니까 손과 팔이 가끔저려오고 했었는데 요즘은 그런 증세가 사라졌구요.

이젠 작년에 담은 봉삼주의 효험을 시험해봐야 할것같습니다.

인터넷사이트에 여러사람들이 체험사례를 올려 확인해본결과 내가 체험한것과 주위분들이 체험한 효험이 딱 맞다 이겁니다.

그리고 무좀에 대해서 한마디 알려드리죠?

제가 장갑을 끼고 일을 하다보니 쉽게 손톱 무좀이 발병하더군요.

인터넷사이트에 무좀이 잘듣는다는것을보고 직접 봉삼을 채취해서 봉삼생즙을 내서 몇번 손톱에 싸고 발랐더니 놀랍게도 몇달뒤에 새 손톱이 자라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완전히 무좀은 없어지고 정상손톱으로 돌아왔습니다. 봉삼의 효과는 대단하다는것을 알았습니다.

 

* 봉삼을 달여드실때

  한번 확 끊인 후 약한 불로 3시간동안 졸이면 잘 우러나옵니다.

  차처럼 하루 3-4잔씩  꾸준히 마시세요

  달인물이 너무 쓰면  안됩니다.

  약간 씁씁하게 맞추어서 냉장보관 후 드세요.

  밖에다 보관시 하루면 변질되어 드실 수 없습니다.

 

 

-홍어마당님의 블로그에서 복사함-

'산야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나비 버섯  (0) 2014.06.30
춘천 근교 산행  (0) 2014.06.27
고본  (0) 2014.06.23
당귀  (0) 2014.06.15
백선(봉삼)-봉황산삼  (0) 2014.06.03

 

산행을 하던중 우연히 만나게 된 백선(봉삼)

이름을 몰라 궁금해 하던중 카페에 사진을 올리니 백선-봉황산삼-봉삼이라는 이름을 알려준다.

 

효능이 많아 산삼에 버금가는 약효가 있다니 조만간 봉삼을 채취하러 가야겠다.

 



 

'산야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나비 버섯  (0) 2014.06.30
춘천 근교 산행  (0) 2014.06.27
고본  (0) 2014.06.23
당귀  (0) 2014.06.15
봉삼의 효능  (0) 2014.06.03

+ Recent posts